미국 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패권을 저지하려고 압박 강도를 높이자 중국은 지난달 말 보안심사 강화를 명분으로 미국 마이크론에 대한 규제를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세계 D램 시장에서 3위인 기업으로 지난해 매출 308억 달러 가운데 33억 달러, 약 11%를 중국에서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요청은 이 마이크론의 수출 공백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이 메우지 말아 달라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미국 정부가 우리 정부에 이같이 요청했다며 윤석열 정부가 외교적 시험대를 맞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 않아도 대중국 수출 감소와 실적 악화로 부진에 빠진 우리 반도체 업계는 고민이 더욱 깊어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미국과 협력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라는 걸 염두에 둬야 하고 그 협력 관계의 수위를 어디까지 해야 하는지, 그리고 우리가 무조건 미국 정부의 요구에 따라야 하는지….] <br /> <br />우리 정부와 기업 측은 미국의 요청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의 물량 확대가 현실화할 경우 마이크론의 부족분 때문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기업이 미국의 요구대로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안기현 / 반도체산업협회 전무 : 우리는 반도체 공급국이잖아요. 이 공급하는 데 충실하면 됩니다. 우리가 잘못 공급하면 전 세계 전자제품 공급망이 혼란스러워져요.] <br /> <br />국내 반도체 업계는 전례 없는 미국의 요구가 윤석열 대통령의 방미 직전에 나온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업계는 큰 틀에서는 미국과 공동보조를 취하되 경제안보 논리로 기업의 이익이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면밀한 대응을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42509502153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